산불은 예측할 수 없는 재난이지만, 적절한 대비와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산불 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위한 필수 요령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산불 발생 시 준비사항
- 대피 계획 수립
- 가족과 함께 대피 경로와 집합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.
- 비상용품을 준비하고 쉽게 가져갈 수 있는 곳에 보관합니다.
- 정보 수집 체계 구축
- 지역 재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합니다.
- 라디오, TV,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.
- 주변 환경 정비
- 집 주변의 가연성 물질을 제거합니다.
- 창문과 문을 불에 강한 재질로 보강합니다.
산불 발생 시 대피 요령
- 신속한 대피 결정: 대피 명령이 내려지면 즉시 따릅니다. 위험을 감지하면 명령 전이라도 자발적으로 대피합니다.
- 안전한 대피 경로 선택: 바람을 등지고 불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며, 계곡은 피하고 넓은 도로나 개활지를 이용합니다.
- 대피 시 행동 요령:
- 연기가 심할 경우, 물에 적신 천으로 코와 입을 가립니다.
- 가능한 차량을 이용하여 대피합니다. 차량 내부는 열과 불씨로부터 일시적 보호를 제공합니다.
- 대피 불가 시 대처법: 주변의 낙엽과 가지를 제거하고 낮은 자세로 엎드립니다. 불에 고립된 경우, 넓은 도로나 주차장 등 개방된 공간으로 이동합니다.
장소별 대피 요령
- 집에서 대피할 때: 창문과 문을 닫고 가스를 차단합니다. 집 주변에 물을 충분히 뿌리고 가연성 물질을 멀리 옮깁니다.
- 산행 중 대피할 때: 119에 신고 후 신속히 하산하며, 활엽수가 있는 구간을 따라 이동합니다.
- 야영 중 대피할 때: 산과 멀리 떨어진 안전지대로 신속히 이동하며, 텐트와 장비는 두고 생명을 우선으로 대피합니다.
특별 대상자 대피 요령
- 어린이와 함께 대피할 때: 아기는 띠를 이용해 안고, 손을 자유롭게 합니다. 어린이와는 손을 잡고 행동 요령을 설명하며 대피합니다.
- 노약자 및 장애인 대피: 이웃이나 관계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며, 평소에 비상 연락망과 대피 계획을 수립해 둡니다.
대피 후 행동 요령
- 안전한 장소에 도착하면 가족과 지인에게 연락합니다.
- 공식 발표를 통해 안전이 확인될 때까지 귀가하지 않습니다.
- 귀가 후에도 주변에 불씨나 연기가 있다면 즉시 신고합니다.
산불 대피는 생명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입니다. 이 글에서 제시한 요령들을 숙지하고 가족과 함께 정기적으로 대피 훈련을 실시하면, 실제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,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이 산불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산에서 조난 당했을 때 생존 전략
산에서 조난 당했을 때 생존 전략 가이드조난 사고, 남의 일이 아니다최근 등산과 트레킹이 인기를 끌면서 조난 사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매년 수백 건 이상의 조난 사
freehaninfo.com